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민식이 법 관련 발언 문단 삭제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민식이 법 관련 발언 문단 삭제
토론
- RE : WIND 작사 저작권 논란과 관련된 내용을 서술한다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anchor(노노제팬)][anchor(악성 팬덤)]악성 팬덤 방임 및 팬카페 관리 소홀 ==== [include(틀:다른 뜻, 넘어옴1=노노제팬, 설명1=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관련, 문서명1=노노재팬)]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파리(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 [[https://www.fmkorea.com/6581908850|에펨코리아]] [[https://archive.md/LICRB|@]], [[https://arca.live/b/society/105339269|아카라이브]] [[https://archive.md/yrkRH|@]], [[https://game.naver.com/lounge/chzzk/board/detail/3532857|치지직]] [[https://archive.md/5MJKN|@]], [[https://theqoo.net/ib/3541376027|더쿠]] [[https://archive.md/jEsZF|@]] 우왁굳은 과거 [[왁물원]] 이외의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팬들에 대해 '''"저희 팬이 아니다"'''라고 발언한 적이 있다. 이 발언은 [[2019년]] 한국에서 유행했던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인 [[노노재팬]]을 패러디하여, '노노제팬(No No My Fan)'이라는 용어로 확산되었다. 해당 발언이 문제로 지적되는 이유는, 우왁굳이 '''"174만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이자 '''"66만 회원의 팬카페"'''를 운영하는 영향력이 큰 방송인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악성 팬들이 일으키는 상황에 대해 '''"팬이 아니다"''' 라고 선을 그으며, [[책임회피|책임을 회피]]하는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 ---- '''{{{+1 위 사건과 비슷한 우왁굳의 사례}}}''' 1. 왁타버스 소속 스트리머 그룹 이세계아이돌 멤버들과 [[PUBG: BATTLEGROUNDS|PUBG]] 합동 방송을 진행하던 방송인 [[김블루]]가 방송 중 이세계아이돌 [[아이네]]의 캐릭터를 죽였다는 이유로 악성 팬들로부터 다수의 DM(Direct Message)을 받은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우왁굳은 팬카페 탐방 중 해당 사건을 접했으나 "저희 팬 아닙니다 그거 ㅋㅋ 분탕들이 가면 쓴 거지"라며 책임을 회피하고 급히 영상을 종료했다. [[https://www.fmkorea.com/7171647057|#]] [[https://archive.md/lsLV9|@]] 물론 당시 이세계아이돌은 수많은 배그 콘텐츠를 진행했고 그 전까지는 이세계아이돌이 죽었다고 상대방에게 악성 DM이 보내진 사례는 없었기에 해당 사례의 '메일단'과 'DM단'이 이세돌 팬인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으나, 설령 사실이 아니더라도 상황에 대해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줬어야 하며 혹시나 있을 자신의 악성 팬덤에게 다시 한 번 메일을 보내는 행동은 잘못된 행동임을 지적했어야 한다.[* 우왁굳은 명확히 그룹 이세계아이돌의 책임자로서 해당 그룹을 관리할 의무가 있었고, 이는 단지 이세계아이돌들만이 아니라 그녀들과 활동과정에서 함께하게 되는 다른 인물들에 대한 대우도 포함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왁굳은 이에 대해 기본적인 경고조차 하지 않고 '아무튼 우리 팬덤이 아닌 분탕일 뿐이니까 내 알 빠는 아니다.'식으로 방만한 태도를 보인 것이다.] 하지만 곧바로 '''"팬이 아니다"'''라며 선 그은 태도는, 팬덤 내 문제의 본질에 대한 책임 회피로 해석되며 논란이 일었다. 1. [[티파니0421/하쿠0089 시절|하쿠0089]]가 [[하츠네 미쿠]]의 [[하쿠0089 ODDS&ENDS 모션 무단 사용 논란|저작권을 침해했다는 논란]]이 발생한 당시, 우왁굳은 이를 사과하거나 해명하려 하지 않았다. 오히려 논란을 제기한 사람들을 분탕으로 취급하는 분위기를 방치했고, 팬덤 전체 차원의 책임이나 반성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관련 논란을 무마하려는 양상이 보컬로이드 팬들의 큰 반발을 불러왔다. [[https://www.dogdrip.net/512088277|#]] [[https://archive.md/72i2U|@]] 1. 우왁굳 및 이세계아이돌의 '팬카페'이며 이에 따라 타 방송인에 대한 비방 금지를 공지하고 있으나, 아프리카TV의 타 방송인 관련 논란 뉴스 또는 비방 글/댓글들이 게시되고, 이에 대한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논란이 발생했다. 자세한 내용은 [[이파리(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왁물원 아프리카TV의 타 방송인들에 대한 비방|왁물원 내 철구, 봉준 등 아프리카TV의 타 방송인들에 대한 비방]] 참조. ---- 위 사례는 타 집단에게 실질적인 피해를 초래한 주요 사건이다. 위 사건 외에도 [[우왁굳]] 및 [[이세계아이돌]]의 팬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에 의해 많은 사건 사고가 발생했으며, 여러 커뮤니티에서는 [[우왁굳]]의 팬덤 관리 소홀에 대한 비판 여론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노노제팬'이라는 표현이 널리 확산되었다. [[https://www.fmkorea.com/7888758375|#]] [[https://archive.md/mhEJV|@]] 이른바 노노제팬의 더 큰 문제점은 팬덤 내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침팬치]]', '[[이파리(이세계아이돌)|이파리]]'들에게 '''책임 회피의 명분'''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당사자는 "나는 [[우왁굳]]의 팬이 아니다"라고 주장하고, 기존 팬덤은 "저 사람은 분탕이다"라며 해당 인물과 팬덤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일명 '[[꼬리 자르기]]'가 반복되고 있으며, 인터넷 커뮤니티 특유의 익명성을 이용해 끝없이 IP 및 계정 세탁을 반복하며 이와 같은 행위를 반복한다. 이로 인해 팬덤 전체의 책임성이 희석되고, 사안의 본질이 흐려지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작 우왁굳 본인이 팬으로 인정한 플랫폼인 '왁물원' 내에서도 자정 작용과 팬덤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확인되어 비판의 목소리는 더욱 커지고 있다. 왁물원의 기본 운영 방침은 '건의 및 토론 금지'인데, 이로 인해 팬덤 운영과 관련된 문제 제기조차 내부적으로 허용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8909892|#]] [[https://archive.md/iQA5D|@]] 이러한 운영 방침을 유지할 것이라면 적어도 운영진 측에서 관계자들과 관련된 논란에 대해 발 빠르게 대응하기라도 해야 했으나, 그런 모습은 보이지 않으면서 정작 일부 팬들의 불만이나 문제 해결을 위한 건의 의견을 게시하면 삭제 및 활동 정지 등의 제재가 발생하는 역설적인 면모를 보인다. [[https://archive.md/7RmGt|@]]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091780|#]] [[https://archive.md/cuL9M|@]]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085038|#]] [[https://archive.md/HUd5A|@]]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339663|#]] [[https://archive.md/k8XKC|@]] [[https://www.dogdrip.net/640121148|#]] [[https://archive.md/5ZFq6|@]] [[https://www.fmkorea.com/best/8533378129|#]] [[https://archive.md/jqCzj|@]] [[https://www.fmkorea.com/best/8531276657|#]] [[https://archive.md/zs5R8|@]] 팬덤 내부의 분탕 제재를 명목으로 운영되는 '스탭 게시판' 역시, 실제로 문제성 이용자들을 모아두는 기능보다는 오히려 소신 발언을 한 이용자들의 게시물이 모여 있으며, 해당 게시글의 작성자를 조롱하거나 폄하하는 기조로 댓글이 작성되고 있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80103|#]] [[https://archive.md/0ee4a|@]] 또한 왁물원 내부에서는 외부 타인들에 대한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80134|공개적인 비방과 조롱]][[https://archive.md/metlA|@]]뿐만 아니라, 우왁굳 콘텐츠에 참여한 [[우왁굳/콘텐츠/비게임/연말 공모전|공모전]] 참가자조차도 욕설 및 혐오 표현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적 게시물들에 대해 카페 스탭들이 별다른 제재를 하지 않거나, 때로는 방조, 심지어는 같이 동조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자정 기능의 부재와 운영 책임에 대한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78966|#1]] [[https://archive.md/ZCMVs|@]],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85191|#2]] [[https://archive.md/wUPji|@]]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소신 발언이 위축되고,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지 못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으며, 모든 상황을 본인 집단의 입장에서 해석하고 결부시키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 '''{{{+1 왁물원에서의 왜곡된 해석 기재}}}''' 2025년 3월 발생한 이세돌의 [[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s-2.1|실물 관련 루머 확산 및 사이버 불링 피해]]에 대해, 왁물원에서는 이를 '고척돔 소식의 주목도를 낮추기 위한 시도'로 해석한 게시글이 인기 글로 등재되었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9650563|#]] [[https://archive.md/dwd9M|@]] 그러나 해당 해석은 사실에 기반하기보다는 특정 시각에 따른 편향된 해석으로 보일 여지가 있다. 1. 이세돌 관련 '''루머 및 허위 정보'''가 확산된 직접적인 계기는 고척돔 발표와의 인과관계보다, 관련 영상이 각종 커뮤니티에서 확산되며 다수의 인기 글로 노출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https://gall.dcinside.com/dcbest/316426|#]] [[https://archive.md/ARbyd|@]] 1. 조직적인 공격의 근거로 제시되었던 '[[YES24]] 실시간 검색어에 '''이세돌 굴'''이 올랐던 사건'은 YES24 측의 확인에 따라 '[[이세돌]]-[[구리(바둑기사)|구리]] 격전보'라는 도서명에서 발생한 오타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https://gall.dcinside.com/dcbest/316895|#]] [[https://archive.md/Ke8Es|@]] 이는 해당 검색어 노출이 이세돌을 겨냥한 의도적 행위가 아니었음을 시사한다. 1. 또한 피해자인 이세돌 멤버들의 채팅창에서 '[[굴(어패류)|굴]]' 관련 채팅을 차단한 사실을 기반으로, 외부 커뮤니티에서 그 원인을 추론하는 과정을 '[[레이튼 시리즈|레이튼]]의 퀴즈를 푸는 것'에 빗대 조롱한 유머글이 인기글에 등재된 것도 루머 확산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있다. [[https://gall.dcinside.com/dcbest/316838|#]] [[https://archive.md/TC5KH|@]] 그럼에도 불구하고 왁물원 내 많은 유저들이 해당 글의 내용을 사실로 받아들이며, '고척돔에 대한 열등감'에 기인해 이세계아이돌이 조직적으로 공격받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물론 그러한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나, 루머가 포함된 게시글이 왁물원 내에서 별다른 검증 없이 유포되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 본인의 팬덤이 일으키는 사건사고와 관련하여, 우왁굳은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고 있으며 침묵이 이어지고 있다. 물론 대규모 팬덤에서 발생하는 비위 행위를 일일이 통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나, 스트리머들이 지속적으로 팬덤의 분위기를 환기하려고 노력하는 이유는 [[전체주의]], [[권위주의]]를 내세워 ''''완전무결한 팬덤''''을 만들기 위함이 아니며, 팬들이 스스로 자신을 되돌아보고 내부에서 [[자정 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측면이 크다. 이와 같은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일부 스트리머들은 팬덤 관리가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디시인사이드 측에 자신과 관련 갤러리를 삭제해 달라고 요청하거나 관련 갤러리가 전면 개설되지 못하도록 조치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그렇게 여러 커뮤니티에 논란으로 인해, 나타기만 해도 저격을 당하는 [[류으미]]조차 자신의 마이너 갤러리가 만들어질 때마다 폐쇄를 시킬 정도로 강도 높은 관리를 진행하고 있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80253|#]] [[https://archive.md/yFPT9|@]] 반면, 악성 팬덤의 주요 활동 기반으로 지목되는 '''우왁굳 및 왁타버스 관련 디시인사이드 갤러리'''는 최소 5개 이상 존재한다. [[https://gall.dcinside.com/mini/supbangsong/44970|#]] [[https://archive.md/GqoGw|@]] 이는 [[디시인사이드]] 내 인터넷 방송 관련 갤러리 중에서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이 관련 논란과 문제를 가속화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팬들과 대책을 논의하여 수립하고 적절한 시점에서 제대로 된 제지와 조치를 실행했어야 했으나 무관심과 무대응으로 일관하면서 수 년 간 [[이파리(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팬덤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문화]]가 누적되게 되었고, 공식 카페인 왁물원과 기타 커뮤니티들은 여전히 자정을 바라는 유저들을 색출하는 데 급급한 채 나아질 여지를 보이지 않는 상태로 운영되고 있다.[* 특히 '''우왁굳 본인이 매니저로 있는 공식 카페'''인 왁물원에서 이러고 있다는 건 우왁굳 본인도 사실상 자정작용을 포기한 채 손 놓고 있거나, 무언가 개선이라도 시도해 볼 생각이 일절 없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인한 셈이다.] 위와 같은 무책임한 태도와 더불어 이런 식의 꼬리자르기는 매우 초보적인 자충수라고 볼 수 있다. 유튜브에서 자신의 영상이나 이세돌 뮤비의 조회수가 천 만이 넘고 일 억이 넘는다 해도 우왁굳의 말 대로라면 이건 "타 플랫폼"에서 일어난 일이니 팬들이 해낸 것이 아니게 된다. 패악질을 일삼는 팬들이 단지 타 플랫폼에서 활동한다는 이유로 자기팬이 아니라고 주장한다면 같은 플랫폼에서 수 많은 조회수를 채워주고 칭찬 댓글 달아준 사람들은 대체 무슨 근거로 자기 팬이라고 할 것인지 심히 의문스럽다. 요약하자면, 우왁굳은 악성 팬덤에 대해서 적극적인 대처보다 별다른 언급이나 조치 없이 묵인하는 소위 [[병먹금]] 기조로 대응해왔고, 이로 인해 팬덤 내 부정적인 문화가 조금씩 쌓여가다가 현재까지 다다르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로 인해 이세돌 팬덤인 [[이파리(이세계아이돌)|이파리]]는 그동안 저질러온 만행들이 재조명되어 아예 '''[[짱깨]]'''라는 멸칭이 붙었으며, 이전에 있어왔던 왁타버스 관련된 자질구레한 논란들 또한 같이 재조명되는 등 적지 않은 이미지 실추를 겪었다.] 우왁굳 본인 또한 병먹금 운운하며 사실상 악성 팬덤들에 대한 관리를 내팽개쳤고, 이들이 일으키는 여러 문제에 대해 [[책임회피]]론, [[매듭 자르기의 오류|매듭 자르기]]론, [[일부 이단]]론, [[개인주의]]론으로만 일관하는 무책임한 태도를 보였다. 거기에 다른 스트리머들이 엄금하는 팬덤의 친목까지 공공연히 방치했고, 실제로 대부분의 시청자들이 중간계와 작업계라는 명목으로 친목 그룹을 형성했다. 이들은 디스코드등으로 개인적인 연락을 하는 것은 물론, 네임드 시청자를 중심으로 실제로 만나 번개모임까지 하는 등 사실상 사이버 친목회로써 팬덤을 이용했다. 자정작용이 되지 않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었던 것이다. 그 결과 극성 팬덤들이 초래한 피해가 여러 커뮤니티로 순식간에 기하급수적으로 퍼져 나가며 많은 네티즌들에게 비판과 조롱을 받고 있다. 어찌보면 2025년 상반기에 들어 왁타버스 전반이 겪은 심각한 이미지 실추 및 하술할 대규모 공론화 사태는 우왁굳의 [[자업자득]]이나 다름없다. 사실 이쯤되면 일부러 극성 팬덤을 방치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올 지경이다. 사건이 본격적으로 터지기 전까지 우왁굳은 저런 극성 팬덤들의 활동으로 인해 이득을 봤다고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파리]]의 논란 항목을 보면 그들이 주된 전선으로 여기며 [[사이버 불링]]에 열을 올렸던 부분은 [[이세돌]]의 데뷔와 곡 발표에 따른 미숙한 운영으로 인해 발생한 법적, 도덕적 문제였다. 그리고 이러한 [[흑역사]]를 부정할 수 없게 만드는 결정적인 [[증인]]들을 대상으로 그 사이버 불링이 이루어졌으며, 극성 팬덤들의 집요하고 부지런할 정도의 열성으로 그들의 주장이 잘못되었음을 주장하는 사람들을 질리게 해서 떠나게 만들고,[* 명백히 피해자임에도, 그들의 [[이파리(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디시인사이드 불법 도배 프로그램(역류기) 사용|역류기]] 테러 및 지속적인 커뮤니티 운영 방해를 당한 [[커뮤니티]]들은 학을 떼며, 항변과 사과요구 대신 [[버튜버]] 및 [[이세돌]], [[왁타버스]] 등의 언급 금지로 사태를 수습했다.] 그렇게 무주공산이 된 사이에 자기들끼리 신규 유입자인 척 질문과 답변을 하거나 추천수 등을 조작하여 대세론을 굳히는 데에 주력했다. 또한 그들이 중점적으로 여기는 메인 이슈가 아닌 이유로 다른 인터넷 방송인을 [[린치]]하는 행위 역시 사실상 우왁굳과 파이를 나눠먹는 업계 경쟁자들을 견제하고, 대형 합방에서 우왁굳의 눈치를 보게하고 우왁굳이 합방의 주도권을 잡게 하는 효과로 나타났다. 문제가 생기면 관련성을 부정해버리면 되었으므로 제3세계에서 활동중인 [[민간군사기업]]이나 [[용병]]과 쓸모가 상당히 유사한 꼴. 법적인 문제뿐만이 아니라 도의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들이 대부분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4277644|외부]] [[https://gall.dcinside.com/m/djmaxrespect/1146350|커뮤니티]]에서 언급되었는데도 [[잠수함 패치|해명없이 해당 문제를 수정]]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우왁굳과 왁타버스 관계자들이 지금까지의 수많은 논란과 사건 사고를 알면서도 의도적으로 회피, 은폐하고 언급을 금지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이후 2025년 7월 21일, 왁물원에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iframe_url=/MemoList.nhn%3Fsearch.clubid=27842958%26search.menuid=1236%26viewType=pc|건의 게시판]]이라는 것을 새로 만들었음을 알렸다.[[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20578846|#]] 우왁굳에 따르면, 왁타버스 방송 컨텐츠 외 다른 이야기는 건의 게시판에서만 해달라면서 '60만명 중에 1명이 이상한 소리하면 그 사람이 왁물원의 대표가 되고 제가 되어버린다.'며 부탁함과 동시에 활정과 강퇴 수위를 더욱 높일 것임을 밝혔다.[[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20578927|#]] 매우 뒤늦은 대처라는 평이 많지만, 이를 통해 자정 작용이 이뤄질지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7월 22일 오후 8시 41분 기점으로 새로운 공지인 "2025 왁물원 이용 규정" 이 개제되었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20585979|2025 규정 공지글]] 기존 규정에서 잡지 못했던 음악 관련 이슈, 첨부 파일 금지, 단체 행동(물타기 등), 활정 일수, 무지성 찬양과 관련된 내용이 추가되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